Dark Light

몇 해 전, 네가 덜컥 엎지른 슬픔이 여기까지 스몄나. 내가 눈 감고 너의 연애사를 끊임없이 복기하는 동안 네 몸은 차츰 어두워지다가 꺼졌다.

― 무슨 일이야?

― 퓨즈가 나갔나 봐. 어떤 감정도 켜지지 않아.

나는 더듬더듬 너를 찾기 시작했다.

― 어디야?

― 여기.

― 어디야?

― 여기 있어.

― 어디야?

― 이쪽.

― 어디야?

― 나도 모르겠어.

― 그럼, 거기서 움직이지 마.

― 응.

나는 몸을 켰다. 깜빡깜빡.

― 내가 보여?

― 거기 희미한 게 너야?

― 응.

― 반딧불이 보다 조금 밝은 게 너야?

― 아마도.

― 예전에 쫓던 빛은 참 환했는데….

― 미안해.

― 아야!

― 왜?

― 뭔가에 걸려 넘어졌어.

― 다친 덴 없어?

― 네 주변은 불편해서 그만둘래. 그만 집에 가야겠어.


코발트 빛 어둠은 반투명 속치마가 되어 이불속에서 막 빠져나온 네 몸에 감겼다. 너는 확실히 과거와 더불어 떠나려는 것처럼 보였다. 가지 마. 넌 대꾸하지 않았다. 나는 약간의 모멸감을 느꼈다. 솔직히 네가 깜짝 놀라거나 겁먹지 않을 정도만 화를 내고 싶었다. 그런데 왜 자꾸 눈이 스륵스륵 감길까. ‘죽음보다 깊은 잠(박범신의 소설 제목이다)’의 축복이 내게도 오려나. 너의 무심한 말에도 딸칵 멈추던 심장은 무시해도 괜찮을 만큼 아팠다. 그냥. 그냥, 여기 있어! 내 말을 듣지 못한 걸까. 아니면 내가 목소리를 내지 못한 걸까. 잠깐 사이, 찬 기운 서린 네 몸에서 담황색 오로라가 비어져 나왔다. 이것은 진작 예견했던 너의 부재를 거스를 수 없는 운명으로 여기게끔 만들었다. 어쩌면… 오늘이 마지막일까? 이런 불안으로 나는 자칫 끔찍한 말을 뱉을 뻔했다. 가지 마, 제발…. 하지만 너는 사라진 지 오래다. 돌이켜보니, 너는 나와 달리 ‘제발’이란 말을 여러 번 했던가. 보내줘. 부탁이야, 제발. 그건 부탁이 아니었다. 똑같은 말의 쓰임에서 조차 자신이 약자라는 사실을 확인하는 일은 기분 좋을 턱이 없다. ― “남자의 병. 남자들이 가진 자기 모멸이라는 병에 대하여는 영리한 여인으로부터 사랑을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하게 도움이 된다.”(프리드리히 니체,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청하, 1999, 212쪽)

 

성가신 꿈이었나.

나는 내 품 안을 확인한다. 다행히도 너는 ‘아직 여기’ 있다. 나는 너의 목뒤에 조심조심 왼팔을 끼우고, 사라진 너를 애틋해한다. 그럼에도 쓴 기억을 딛고 가버린 너의 조각이 결코 돌아오지 않길 바란다. 앞으로의 치명적 상처에 대비하도록 지분덕거리지 마라. 제발. 옛사랑아, 제발.

― 깼어? 피곤했는지 코 많이 골더라. 좀 더 자.

나는 너의 목이 졸리는 걸 잘 알면서 더욱 세게 끌어안았다. 이런 레슬링 기술이 있었나? 그리고 숨을 한껏 들이쉬어 너의 귓가에 솔솔 불었다.

― 간지러워.

이런 레슬링 기술은 없다. 난 네 머리카락에 볼을 비비며 조금씩 밝아오는 방안을 둘러봤다. 이곳이 조금 변한 것 같다. 나 자신조차 생소한 시간 속에서 오로지 너만이 익숙하다는 사실을 납득할 수 없다. 그러나 조바심 내지 않기로 한다. 시간이 아직 좀 남아있다. 언제 우리가 단절될는지 가늠할 수 없지만 이대로 무작정 끝은 아니다. 그것만은 선험적으로 알 수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Posts

파편, 2011년 07월

20110701 (금) 알이즈웰, RT @vriole 알이즈웰 20110707 (목) 내 청춘의 가장자리. 그러나 아름다웠다. 20110712 (화) 누군가 내 이름을…

두 종류의 그리움

지난 주말, 익산에 다녀오기로 계획했었다. 하지만 삼일절 내내 사무실에 갇혀 프레젠테이션에 필요한 도표만 만들었다. 오후 5시 10분 용산발…

파편, 2020년 12월

20201208 (화) 인스타그램도 트위터도 다 맛이 가네. 인스타그램은 이전 게시물 보기, 추천 게시물, 쇼핑, 활동탭으로 정을 떼더니, 트위터는…

모몰씨의 일일

한강 변은 매우 그럴싸하다. 모몰(冒沒) 씨는 용산구 이촌동에서부터 한강대교(제1한강교란 이름이 더 애틋하다)를 건넌 뒤, 강변을 따라 동작구 흑석동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