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부터 황도 통조림과 복숭아 넥타를 싫어했다. 물큰물큰한 꼴로 설탕물 맛이 나는 복숭아를 왜 먹어야 하는지 몰랐고, 그 국물만 따로 담은 넥타에 돈을 지불하는 것도 이해할 수 없었다. 심지어 ‘넥타(nectar)’는 텁텁 시큼한 맛에 걸맞은 괴상한 이름이라고 생각했다. 넥타가 과실음료를 뜻한다는 걸 알기 전에는.
내 반감을 아무도 알 리 없었지만, 다행스럽게도 황도 통조림과 복숭아 넥타를 내 손에 쥐여주는 사람은 없었다. 하지만 피할 수 없는 곳이 있었다. 부모님 손에 끌려 친지의 병실이라도 찾으면 ‘거기’에는 ‘그것’이 있었다. 나는 (친절하게 캔을 딴) 복숭아 넥타를 건네받으면 내내 들고만 있었다. 쌕쌕이나 봉봉을 주면 바로 마셨다.
당시에는 왜 황도 통조림과 복숭아 넥타가 최고의 병문안 선물이었을까. 과육음료인 ‘넥타’는 ‘과실퓨레(fruit puree)’가 원료인데, 과실의 종류마다 20~50%를 반드시 첨가해야 하는 모양이다. 과실퓨레는 박피·제핵·제심한 과실을 삶거나 갈아 걸러내고 순간살균하여 제조한다. 그러니 100% 주스가 흔치 않던 시절에 나름의 건강음료로 여겨진 모양이었다. 액상과당이 얼마나 첨가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이제는 생과일주스가 흔해서인지 황도 통조림과 복숭아 넥타는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잊혀졌다. 병원을 찾아 위로의 말을 건네면서 황도 통조림을 따 주는 사람을 마지막으로 본 게 언제인지 모르겠다. 무가당(이 말도 예스럽네) 주스 세트와 비타민 음료가 병원 공인 음료라도 되는 양 병원 내 매점 냉장진열대를 모두 차지했다. 어지간한 술집이라면 황도를 안주로 내지 않는다.
황도 통조림과 복숭아 넥타는 그렇게 내 세계에서 사라졌다. 그러다 얼마 전, 귀갓길에 들른 슈퍼마켓에서 황도 통조림을 발견했다. 새삼 발견했다고 말하기 미안할 정도로 황도 통조림은 손이 잘 닿는 자리에 진열되어 있었다. 게다가 여러 회사에서 황도와 백도를 깡통에 담아 내놓고 있었다. 세상에나. 황도는 아직도 사랑받는 게 아닐까? 정말 의심스러웠다. 그리고 갑자기 입 안에 침이 고였다. 믿을 수 없었다. 깡통 황도 따위가 먹고 싶다고? 내가 지금? 나는 깡통 황도를 집어 들고 처참한 심정으로 계산했다. 그리고 봉지를 들고나오면서 중얼거렸다.
살다 살다 깡통 황도가 다 먹고 싶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