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k Light


그저 무의미하게 놓여 있을 뿐이다. 의미로 전환되지 않는 일상은 폐허와 다르지 않다. 그는 지금 그 의미의 폐허 위에 있다. 나도 그 폐허 위에서 음악을 듣고 청소하고 영화를 보고 있었던 것이다. 창작의 진전만이 다시 그 무의미를 의미로 되돌릴 수 있다.
— 김근·남피디, ‪「오지 않은 시간을 향한 주문 ; 이센스-Writer's Block」, 『드랍 더 비트‪』, 쌤앤파커스, 128쪽.


방학을 일주일 남기고서야 책을 연다. 내가 지은 무의미를 희석해 보려는 안간힘이다. 우선 책 목차에 있는 노래들로 재생 목록을 만든다. 프롤로그를 더듬더듬 읽고, 이후부터는 노래 듣기와 책 읽기를 번갈아 반복한다. 낯선 래퍼의 노래 가사를 새겨들으면서 그간 내 마음이 얼마나 많이 시들해졌는지 알아차린다. 언제부터일까, 나는 세계의 어떠한 무례에도 그다지 화가 나지 않는다. 내가 품는 유일한 불만은 결국 나다. 내 바깥에도 미운 것투성일 텐데 잘 내다보지 못한다. 반면 래퍼들은 그동안 자기를 질시할 기운으로 합이 맞지 않는 세계에 시비를 걸어온 모양이다. 이게 래퍼의 정신건강 비결인가. 오늘은 나도 그 기운을 조금 주운 덕분에 안에서부터 무너지려는 마음을 다잡고 마저 책을 읽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Posts

김훈, 『칼의 노래』, 생각의나무, 2002

방책을 잃어버린 혹은 방책이 없는 김훈, 『칼의 노래』, 생각의나무, 2002.(‘알라딘’에서 정보보기) 전라도 어디 석상리에서였지? 철새 떼가 매일 검은…

이기호, 『최순덕 성령충만기』, 문학과지성사, 2006

상상력으로 어제를 돌파하라 이기호, 『최순덕 성령충만기』, 문학과지성사, 2006.(‘알라딘’에서 정보보기)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金載圭, 1926.3.6~1980.5.24)는 궁정동 만찬회…

김종광, 『낙서문학사』, 문학과지성사, 2006

수런거림의 성스러움 김종광, 『낙서문학사』, 문학과지성사, 2006.(‘알라딘’에서 정보보기) 김종광은 또 한 번의 자기갱신을 유쾌하게 이뤘다. 이미 전작 『모내기 블루스』(창작과비평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