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k Light
이상은, Happy Birthday


오늘 생일을 맞은 134,980명(대한민국 인구/365일)에게 다소 미안한 고백이지만, 나는 다세대 주택의 지붕을 때리는 빗소리에 맞춰 킥킥킥킥 웃고 있다. 올해 11월 27일(월요일)은 구겨진 검은 정장을 차려입고 장례식장에 앉아 육개장을 떠먹는 게 어울릴 만큼 서늘하고 서러운 날씨구나. 자신의 탄생을 축복하는 사람들과 어수선한 파티를 계획한 생일자를 위해 진심 어린 동정을 할 수 있다는 건 (혹은 부러움과 질투를 감출 수 있다는 건) 다행스럽게도 내가 아직 단단하다는 사실을 확인케 한다. 그래서 상심한 여러분께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옛날에 “인생 최고의 비극은 자기가 끓인 미역국이 제일 맛있을 때 온다”라고 말했던 지혜로운 동시에 요리 솜씨가 빼어난 사람이 있었다. 그는 “생일에 비가 내리면 누군가는 반성과 사과를 해야 한다”라는 말도 중얼거렸다. 이런 음울한 사람을 이제껏 본 적이 없다면, 그래, 내가 막 지어낸 거다. 이 경솔한 말은 우리에게 기회가 한 번 더 남아있기에 할 수 있는 것이다. 동양의 문화는 양력과 음력 생일 간에 상호 보완이 가능하지 않나.


생일이라는 게 과연 축하받을 일인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당연히 대수롭지 않다고 여긴다. 그래서인지 생일 축하를 받는 일 자체가 내겐 너무 부끄럽다. 고등학교 2학년쯤이었을까? 한 여자아이(이름이 뭐였더라)가 제 친구와 함께 레스토랑에서 나를 불러냈다. 월넛색 MDF 테이블 위에는 직원까지 나눠 먹어도 남을 만한 크기의 화려한 케이크가 놓여 있었다. 여자아이들이 직원에게 여분의 접시를 부탁하고 색색 초에 불을 붙이는 동안 나는 뭘 해야 할지 몰랐다. 그냥 이 상황이 이상하게 부끄럽고 창피했다. 눈 앞에서 흘러내리고 있는 빨간색 촛농이 되어 케이크의 크림 속으로 얼굴을 묻고 싶었다. 축하를 마땅히 여기고 마냥 기쁘게 생각할 수 있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

내가 축하에 인색한 가정에서 성장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에 가깝다. 어머니는 매해 생일마다 책을 한 권씩 사주셨다. 평소에도 책에 대해서만큼은 인색하지 않았지만, 간혹 한 번 더 읽으라거나 이웃집에서 책을 얻어다 주기도 하셨다(초등학생에게 『문예중앙』을 읽으라니요). 아주 오래 전통처럼 이어진 책 선물은 오늘날 나를 만들었다. 지금쯤은 책이 아니라 과학 상자를 선물하지 않은 것을 상심하고 계실 부모님께 위로의 말을 드리고 싶다.


이 이야기에 특별한 결론이나 주제는 없다. 앞으로도 나는 50번쯤은 더 생일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그러니 이렇게 어수선하게 글을 맺어도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Posts

즐거우면 너무 무서워

어제는 술자리에 있었다. 유쾌했다. 그러나 순결한 즐거움이 들이칠 때마다 질겁했다. 쓸려 내려가지 않으려고 맞섰다. 수면제를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삼킨…

파편, 2010년 02월

20100201 (월) 나의 ‘사랑’은 정말로 고약한 것이다. 이것을 받아 드는 그 사람은, 아마도, ‘나’라는 고약한 음식물 쓰레기를 가슴에…

나도 선생이라고…

졸업식만 남겨둔 아이들이 찾아왔다. 아이들이 모여 있다던 흑석동 원불교기념관 1층 뚜스뚜스(브런치카페)는 대놓고 뚜레쥬르 간판을 베낀 것 같았다. 하지만…

지긋지긋한 그리움을 매순간 자각한다

지긋지긋한 당신들을 그리워하기 위해, 백여 미터쯤 떨어진 중앙도서관으로 왔다. 이곳에선 당신들을 마주칠 일이 없을 것이다. 어지간해서는. 그래도 고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