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k Light

대략 18개월 전에 쓴 단편소설 「사랑의 대부분」을 다시 꺼냈다. 나는 이 글 가운데 사랑에 관한 해설을 특별히 아낀다. 누구나 알고 있지만, 누구나 표현할 수 없는 서술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 살펴보니 전체 얼개가 엉터리다. 주인물인 남자가, 전혀 의미하는 바가 없는 부조리한 상황·공간 속에 던져진다는 건 어떻게든 우겨본다지만, 진짜 문제는 그가 살아 있는 인간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는 부조리한 상황 속에서 절망 혹은 갈망하지 않는 인간이다. 실존을 포기한 인간이 사랑으로 말미암아 울음을 터뜨린다는 결말은 진정 나조차 믿기지 않는다.

여기서 질문. 그때는 왜 몰랐을까.

나도 정말 어지간히 발전이 더딘 인간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Posts

하늘공원의 두 어른이

이십여 년이 흘렀지만 우리는 자라지 않았다. 여전히 욕만 퍼붓다 전화를 끊고, 밥값 몇 푼으로 싸우고, 실패한 연애를 들춰…

아들이 철들면 아버지는…

아버지와 나란히 앉아 지역신문 부고란을 봤다. 나는 죽은 사람들의 향년을 꼼꼼하게 살폈다. 아버지는 친척과 이웃의 부음을 기억나는 대로…

그냥 기도나 배웠어야 했는데

매일 아침 언덕을 날아 내려가면서 꺄꺄갸갸 우는 새가 있다. 들이받고 싶다. 나는 관계할 것들의 부고를 미리 알아 차리는…

치매예방을 위한 글쓰기

한 해가 끝났다. 시간 인지가 많이 늦된 듯싶지만 매년 이즈음이 되어야 넘긴 달력을 되돌릴 여유가 난다. 기억해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