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k Light

오늘도 특별한 날이 아니다. 어제나 엊그제와 같이 지겹다.

지난주에는 강의실 단상 앞에서 “지옥이란 이런 곳인가?”라고 혼자 물었다. 한 공간에 모여 있던 서른 사람 중 몇이 웃었다. 가벼운 농담이었던 것처럼 힘주어 한 번 더 말했고 몇 사람이 더 웃었다. 나도 웃었다.

방금까지 오늘도 특별한 날이 아니라고 확신했는데, 어쩌면 매일매일 특별한 날을 맞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내일은 더 집요하게 옭아매는 지옥’이라는 상시 이벤트가 실수 한번 없이 이어지고 있다. (정말로) 내가 벌여놓은 건 하나도 없는데 일의 번식 속도를 도저히 따라잡을 수가 없다.

열두 시간째 일을 하다가 어머니의 전화를 받았다. 요즘도 바쁜지 물으시길래 그냥 그렇다고 얼버무렸다. 전화기를 넘겨받은 아버지는 요 며칠 감기로 고생 중이라고, 이제 김장을 해야 한다고 엄살을 부렸다. 전화를 끊기 전에 아버지도 어머니의 당부를 그대로 읊조렸다. 밥 잘 먹고 따뜻하게 옷 입고 다니라는 등의. 어머니와 아버지는 매초 이런 걱정을 채우고 사는 게 어렵지 않은 걸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Posts

무화과는 지네 운수조합 사무실

얼추 익은 무화과를 거둬들였다. 하루 더 나무에 매달아두고 싶었지만 나와 새는 해마다 무화과 수확 시기를 두고 눈치를 살펴왔다.…

절음의 고갈, 결의의 기근

우리는 대학시절의 대부분을 잔디밭에 누워 보냈다. 그 사이사이 레쓰비 깡통커피를 마시거나 담배를 피웠다. 볕은 대체로 따가웠다. 학보를 펼쳐…

새해 복을 끊어 가시오

설에 이정록 선생님을 뵀다. 선생님께서는 종이봉투에 덕담을 적고 그 안에 새 책을 담아 주셨다. 여전히 내 가장 큰…

파편, 2012년 11월

20121103 (토) 상록 지역아동센터. 아이들은 하나같이 의욕이 없어 보였다. 이런 권태를 내가 더 많이 가졌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싶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