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k Light

울었지만 진 건 아냐

최은영, 『쇼코의 미소』, 문학동네, 2016.


이 책 한 권을 읽는데 석 달이 걸렸다(2016년 11월 4일 구매). 요즘에는 책을 잘 안 읽는데, K의 물음에 궁금증이 일었다. K가 한 물음의 요지는 ‘그의 소설이 작가·언론·독자가 이렇게까지 한목소리로 열광할 만한 작품인가?’ 하는 것이었다. 나는 가벼운 호기심에 그 즉시 전자책으로 구매해 읽기 시작했다.

표제작 「쇼코의 미소」를 다 읽고 든 감상은 타자에 대한 강박적 이해심이었다. 내 엉성한 기준으로 살필 때 이 소설은 그리 마음에 드는 작품이 아니었다. 제법 긴 소설인데 쇼코와 나, 엄마와 나, 엄마와 할아버지, 할아버지와 나, 할아버지와 쇼코의 화해를 위해서 억지스럽게 밀어붙인 흔적들이 많이 보였다. 어디서 본 듯한 우산 에피소드, 서사로 해결하지 못한 감정을 단숨에 정리하는 편지, 갈등 행동에 필연성을 부여하는 등장인물 간의 교차 설명 등, 아무리 뜯어봐도 이 작품은 촌스러운 방식으로 쓰인 작품이었다. 물론, 열심히 힘을 내어 끝까지 읽으면 코끝이 찡해졌다. 하지만 감동의 부피가 작품에 어떤 지위를 부여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 탓에 김영채 평론가도 많은 고심을 한 것처럼 보인다. “심사위원들을 감동시켰으니 이 작품이 좋은 작품인가”라고 스스로 질문을 하고, “감동적이라거나 마음을 움직이게 했다는 말은 좀 특별한 지위를 지니”며 “감동받음이란 모든 예술이 지향하는 종국적인 것”이라고 결론을 지음으로 대답을 슬쩍 피한다. 작품이 감동적이라는 말은 “어떤 작품에 대한 상찬의 말 중에서도 최상급의 것”이라고도 말하지만 그 감동이 무엇으로부터 유래한 것인지는 끝내 이야기하지 않는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나도 이 작품집을 읽으면서 어떤 감정이 고양되는 걸 느꼈다. 하지만 그 감동이라는 것은 인물의 아프지만 솔직한 ‘목소리’에서 발생한다. 내 어머니는 텔레비전을 보시다가 종종 눈물을 흘리신다. 검버섯이 온몸을 뒤덮은 노인이 수십 년 전에 돌아가신 어머니를 생각하며 죄스러워한다든가, 부모 생전에 불효만 하던 자식이 뒤늦게 오열을 한다든가 하는 장면에서는 어김없다. 이런 직접 구술의 힘을 최은영은 잘 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선뜻 순하고 맑게 빼어난 작품이라고 꼽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 얼마 전 작품집 『쇼코의 미소』는 소설가 50명이 추천한 ‘올해 가장 기억에 남는 소설’ 중 하나로 뽑혔다고 한다. 50명 가운데 7명이 추천하여 다른 작품들과 함께 공동 1위라는데, (개인적으로) 추천한 이가 누구인지 궁금하다. 그리고 며칠 전에는 최은영 작가가 ‘제8회 허균문학작가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고 한다(심사위원:윤후명·이순원). 이렇게 많은 이들이 주목하는 걸 보면 내 감상이 후진 것 같기도 하고. 솔직히 좀 그렇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Posts

뱅자맹 콩스탕, 『아돌프』, 열림원, 2002

우린 좀 더 조심스럽게 말해요 뱅자맹 콩스탕(Henri Benjamin Constant, 1767~1830), 『아돌프(Adolphe)』, 열림원, 2002.(‘알라딘’에서 정보보기) 사랑하는 이들은 제어할 수…